어둠 속에서 무언가 반짝였다.
정체를 알 수 없는 편지였다.
Something shimmered in the dark.
It was a letter, its sender unknown.
그것은 아마도 이곳의 전 주인이 놓치고 간 듯,
마치 다른 세계에서 건너온 것처럼 낯설었다.
Left behind by the former occupant,
or perhaps sent from another world—it felt utterly unfamiliar.
작게 숨쉴 때마다 이 모든 것이 내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가슴 깊이 깨닫고는 해. 익숙한 냄새가 사라지고 아끼던 가구가 놓였던 자리가 흔적도 없어질 때까지 걸린 시간은 고작 하루 남짓. 텅 빈 공간을 응시하는 동안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고는 그저 숨을 더 작게 쉬어보는 것 뿐이야. 무언가 담아갈 수 있는 것이 남아있길 바라는 기대로.
(편지의 중간 부분은 볼펜으로 지워져 있었다.)
더는 지속할 수 없었던 꿈에 대해 들려주고 싶은 마음은 없어. (그 뒤로도 몇 문장이 지워져 있다.).
그럼 난 이 편지를 왜 쓰고 있으며, 어째서 이걸 분전함 안쪽에 숨겨두려는 걸까?
여전히 철없이 계속되는 희망이 전선을 타고 흐르고 흘러 온 세상에 대규모 정전이라도 일으키길 바라는 걸까? 우리에겐 오직 밤에만 깨달을 수 있는 진실이 있으니까?
With each small breath, I realize more deeply that none of this truly belongs to me. The familiar smell vanished, and in just over a day, the place where my favorite furniture once stood left no trace behind. All I can do is try to breathe smaller still, as I stare into the emptiness—hoping there’s something left I can carry with me.
(Part of the letter here had been crossed out with a pen.)
I don’t want to talk about the dream that could no longer go on.
(Several more sentences appear to have been erased.)
So why am I writing this letter at all?
And why am I hiding it behind the fuse box?
Maybe it’s the hopeless hope still clinging to me hoping it might ride the wires,
spill out into the world, and cause a blackout of its own.
Because some truths can only be realized at night?
Click on the image below